🗡️ Higuain 연준 3편 “대통령님, 한국은행을 ‘칼’로 쓰시면 안 되옵니다” - 연준 3편(feat. Joven)
⚡️ Higuain (자문위원 Z) 소개 - 시장에서 단련된 현실주의자 - ✍️ 참여 콘텐츠 보기 통화 당국이라는 '권력기관(?)', 한국은행의 미래를 논하다. 잠시 생각해보자. 우리는 왜 '정치서사연구소'라는 이름을 내걸고 연방준비제도와과 같은 통화 당국을 무려 세 차례에 걸쳐 다루고 있을까? Higuain은 지난 7월 첫 대담 에서 자신은 '권력을 효과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방향에 집중한다'는 얘기를 한 적 있다. '통화정책' 또한 실물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크나큰 '권력'이다. 그 힘의 작동 원리를 파악하고, 대통령으로 대표되는 집권세력과 중앙은행 간의 균형점을 찾아가는 것도, 정치와 사회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효과적인 길까지 찾을 수 있다면 더 좋다. 그래서 그와 함께 한국은행을 주제로 놓고, 앞으로 가야 할 길을 얘기해 봤다. 🧑🚀 소장 "한국은행 운영에 대해 조언한다면?" 이제부터 가상의 상황을 가정합시다. 연구소가 당국의 주요 인사로부터 앞으로 '한국은행'을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 의뢰받은 상황입니다. 중앙은행의 역할이나 기능이 조금씩 변화하니깐요. 제가 자문을 요청받으면 제일먼저 Higuain 위원님의 의견을 여쭤볼 텐데요. 가장 기본적인 물가 안정 기능부터 연구 활동까지 무엇이든 좋습니다. 어떤 방향으로 답변하면 좋을까요? ⚡️ Higuain "방법론적으로 '기준 금리' 하나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미래 한국은행의 운영 방향에 대해 조언한다면, 그 시작은 변치 않는 최우선 과제인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일 것입니다. 이 지루하고 당연한 원칙은 시대를 막론하고 그 어떤 과제보다 우선되어야 하고 그 중요도는 미래에도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보면, ‘기준 금리’에 의존하는 과거의 방식과는 완전히 달라져야 합니다. 현대 사회의 경제는...